자유게시판

마이크로파일 - 협소한 공간의 (feat.영광eng)

페이지 정보

profile_image
댓글 0건 조회 2회 작성일 25-06-26 01:05

본문

마이크로파일(Micropile) 공법이란?

도심 한복판, 오래된 건물 옆. 넓은 공간 없이도, 강력한 기초 보강이 필요한 순간이 있습니다.
이럴 때 등장하는 조용한 , 마이크로파일 공법을 소개합니다.

1. 마이크로파일 공법, 왜 필요할까? ​

지반이 약하거나 기존 기초로는 부족한 구조물, 그런데 대형 장비를 쓰기엔 공간이 부족한 현장. 여기서 좁은 공간에서도 깊고 단단하게 들어가는 파일이 필요합니다.
바로 이럴 때, 직경 100~300mm의 소형 파일이 강한 힘을 발휘합니다.
이걸 우리는 마이크로파일(Micropile) 이라 부릅니다.

2. 마이크로파일 어떻게 시공되나요? ​

마이크로파일 공법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됩니다.

1. 시공 위치·각도 설정

2. 천공 작업 – 필요시 케이싱 병행

3. 보강재 삽입 – 강봉, 스트랜드, 강관 등

4. 1차 그라우팅 – 지반과 일체화

5. 필요 시 2차 그라우팅 – 강도 확보

6. 두부 처리 및 구조물 연결

3. 마이크로파일 이런 현장에 추천합니다 ​ ​

기존 건물 리모델링/증축 교량 받침부 보강 절토면/옹벽 안정화 지하 구조물 침하 방지 토류벽, 앵커 대체 지지

특히 협소한 시가지, 진동·소음에 민감한 지역 에서 그 진가를 발휘합니다. ​

4. 마이크로파일 장점 vs 단점 ​

장점 ​ 소형 장비 시공 가능 실내·협소지 OK 저소음·저진동 민원 걱정 없음 다양한 지반에 적용 가능 기존 구조물 근접 시공 가능 인장력 + 하중 지지 모두 가능 단점 ​ 개별 공정 많아 숙련도 요구 그라우팅 품질 관리 중요 대형 하중 시 다수 파일 필요 암반 천공 시 시공 시간 증가 ​

5. 마이크로파일 시공사양 요약 ​

항목 내용 천공 직경 100~300mm 시공 깊이 5~40m 이상 가능 보강재 강봉(D32~D
51), 스트랜드, 강관 주입재 시멘트 밀크, 비약제성 그라우트 허용 하중 압축 100kN / 인장 500kN 이상 설치 각도 수직 또는 15°~45° 경사

6. 마이크로파일 관리 포인트 ​

천공 직경 및 깊이 체크 수직도·경사도 검사 그라우팅 압력 및 주입량 관리 보강재 정렬 확인 ​

마이크로파일은 “보강” 그 이상 ​ 단순히 하중을 지지하는 게 아닙니다.
기존 구조물의 생명을 연장하는 절차, 복잡한 도시 환경 속에서도 해답을 제시하는 기술 입니다.

대표번호1877-2848